HOME > 회사소개 > 보도자료
 
창업도 재테크…‘투자형 창업’이 뜬다 2008-07-03
    521

창업도 재테크…‘투자형 창업’이 뜬다
 
일반적으로 창업이라 하면 ‘생계형 창업’을 떠올린다. 하지만 2개 이상의 점포를 운영해 웬만한 중소기업 못지않은 매출을 올리는 ‘다점포 창업자’가 있는가 하면, 일정 금액을 점포 창업에 투자하고 운영은 전문 매니저에게 맡겨 자신은 그 수익의 일부를 배당받는 이른바 ‘투자형 창업자’도 늘고 있다.
이러한 다점포 창업이나 투자형 창업은 주식투자나 부동산 투자와 같은 일종의 재테크 수단으로 주목받기도 한다. 또 기존의 가게운영 마인드에서 벗어나 기업 CEO로서의 마인드로 점포를 운영하게 됨으로써 창업시장의 선진화에도 기여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창업전문가들은 “투자형 창업은 기술과 자금이 합쳐져 시너지 효과를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직장인들의 재테크 수단이나, 퇴직자나 주부 등 초보 창업자들을 위한 창업 아이템으로 바람직하다”는 의견이다.
다점포 창업 증가세
한 명의 점주가 동일한 프랜차이즈 매장을 2~3곳씩 운영하는 다점포 창업이 증가하고 있다.
일본에는 아예 프랜차이즈 가맹점 20~30여 개를 운영하는 중소기업도 있고, 미국도 한 사업자가 점포 여러 개를 운영하는 사례가 많다. 이는 견실한 물류 시스템과 가맹점 지원 시스템을 갖춘 프랜차이즈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또 본사의 재무구조가 튼튼하고 전산화․정보화 인프라 및 직원 교육 매뉴얼을 갖추고 있어 점주가 하나의 매장에만 묶여 있지 않아도 손쉽게 매장 관리를 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의 경우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본사들은 점주에게 장사가 아닌 경영 마인드를 심어주기 위해 인사ㆍ재무ㆍ조직관리 등의 보수교육을 수시로 실시하기도 한다. (중략)

세계맥주 전문점 ‘와바’ 여의도점은 가맹 본사와 직원을 포함, 모두 다섯 명이 공동출자해 창업한 가맹점이다.
이곳은 330㎡(100평), 230 좌석 규모의 대형매장으로서 창업비용도 5억 원에 달했다.
대형 매장이라 창업비용 때문에 하고 싶어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을 위해 여러 명의 투자자를 물색했다.
여의도점은 독립법인으로 가맹본사가 지분의 40%를 갖고 나머지는 본사 직원과 일반 투자자들이 투자금액에 따라 주식을 소유하는 형태를 띤다. 이곳의 한 달 매출은 8000만원~1억 원 내외. 1억 원을 출자한 투자자는 월 평균 300만 원 정도를 가져갈 수 있다.
 
성공 전략 및 주의점
 
다점포 창업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신뢰할 수 있는 프랜차이즈 본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통 등 확실한 물류시스템을 갖추고 가맹점 운영에 필요한 원재료나 각종 물품을 직접 공급할 수 있는 본사를 골라야 한다. POS 시스템 등 매출에서부터 식자재 관리까지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도 중요하다.
누구나 손쉽게 조리할 수 있도록 매뉴얼화된 레시피와 본사의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 제공되는 원재료는 인건비 절약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역량 있는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슈퍼바이징 등 가맹점 관리시스템이 갖춰져 있는 본사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 다점포 창업자 자신이 장사가 아닌 경영 마인드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한 개 점포를 운용할 때와 달리 직원 수도 많아지고, 매출도 커지게 됨으로 직원 관리에서부터 마케팅, 재고 관리 등에 이르기까지 기업을 경영하는 CEO 마인드로 무장하고 운영해야 한다.
투자형 창업 역시 일반 창업과 마찬가지로 업종 선정이 성공의 관건이다. 손해를 보지 않으려면 성장성과 안정성이 높은 업종을 고르는 안목을 키워야 한다. 또 프랜차이즈 본사의 운영ㆍ관리 시스템 점검은 물론, 반짝 아이템에 혹해 충동적인 투자를 해서는 안 된다.
특히 프랜차이즈 본사가 경영 전문성과 노하우를 갖췄는지 중점적으로 살펴야 한다. 본사 역량이 부족하거나 준비 없이 뛰어들 경우 성공하기 어렵다는 것은 분명하다.
또 투자자가 수익에 대해 지나치게 욕심을 내는 경우에도 성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투자 조건과 입지 여건 등을 꼼꼼히 따지고 본사의 인력 구조나 역량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다음 결정해야 한다. 
 
이채용기자@이투데이 [ mywish73@e-today.co.kr ]
 
 
이국 정취·한국 정서 배합 ‘포인트’
WABAR와 함께하는 국내 최대규모 음악축제